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

도커 데스크탑 에서 minikube + hyperkit 조합으로 갈아타기 본 포스팅은 맥 환경(macOS Big Sur)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도커 데스크톱 삭제 하기 먼저 기존에 사용하던 도커 데스크톱을 삭제합니다. 도커 데스크톱 창을 띄워 우측 상단에 벌레 모양(?)의 버튼을 눌러서 Troubleshoot 메뉴로 진입한 후 아래에 보이는 Un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는 터미널 상에서 brew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 brew uninstall docker 다만 위 두 방법을 통해 도커 데스크톱 삭제를 진행하는 경우 도커 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했던 모든 툴들이 함께 삭제됩니다. (Docker daemon, Hyperkit, Docker CLI 등) Hyperkit 설치 도커 데스크톱을 삭제하면서 가상화 머신 또한 함께.. 2021. 10. 30.
깃 (git) 예전 커밋 (commit) 에 변경사항을 추가하고 싶을 때 깃을 이용해서 열심히 작업을 하다 보면 이전에는 생각지 못했던 변경 사항이 생겨서 예전 커밋에 이를 반영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rebase 명령어를 이용하면 쉽게 예전 커밋에 변경 사항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git log' 를 입력하여 돌아가고자 하는 특정 커밋을 확인합니다. 여기서는 위에서 세번째 커밋 시점으로 돌아가기로 합니다. (977c033420fa13207cd10929c7c13622795dd13a) 2. 'rebase -i'를 이용해 과거의 특정 커밋 시점으로 돌아갑니다. 현재 HEAD 커밋으로부터 상대적인 위치를 주거나 커밋 코드를 줄 수 있습니다. git rebase -i HEAD~3 (현재 HEAD에서 3번째 전 커밋) 또는 git rebase -i 8819bd.. 2021. 10. 20.
인텔리제이 java: illegal character: '\ufeff' 에러날 때 예전에 윈도우 환경의 이클립스 IDE 로 작성했던 java 파일을 맥 환경의 인텔리제이에서 빌드 하려 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구글링 해보니 해당 java 파일에 UTF-8 BOM이 추가되어 있어서 맥 환경의 IDE 상에서 이를 해석할 수 없어 나타나는 에러였습니니다. 아마도 윈도우 이클립스에서 java 파일을 작성할 때 자동으로 BOM이 추가되었던 것 같습니다. 따라서 BOM을 제거해준다면 정상적으로 파일을 읽을 수 있고 빌드도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저의 경우에는 한 개가 아닌 다량의 파일을 처리해야 했기 때문에 아래처럼 Bash 스크립트를 통해 일괄 처리하였습니다. find . -type f -name '*.java' | xargs -I{} sed -i '.. 2021. 10. 15.